카테고리 없음

물고기의사 수산질병관리사 자격증

zzim108 2021. 8. 10. 16:18

물고기의사 수산질병관리사 자격증 

일반 동물병원에는 거의 강아지, 고양이 그리고 가끔씩 보이는 햄스터나 고슴도치 등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땅 위에서 네발 또는 두발 정도로 돌아다니는 동물을 진찰하게 됩니다. 그럼 물고기가 아프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집에 수족관 만들어서 열대어 등의 관상어 키우는 분들은 애들이 아프면 어떻게 하세요? 오늘은 이런 물고기의사 정식명칭 수산질병관리사 자격증 정보를 소개합니다. 

 

 

수산질병관리사 

국가자격증의 하나로 2004년부터 해마다 1회 시험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2,3월경에 시험이 있습니다. 다른 말로는 물고기의사 라고도 부르는데 단순하게 물고기 즉 어류만 진료하는 것이 아니라 갑각류, 패류, 해양포유류, 수산 식물 특히 해산종자식물까지 진료하게 됩니다. 

2021년 18회 수산질병관리사 국가시험에서는 총 64명이 합격했습니다. 

 

일명 물고기의사 라고 불리는 만큼 수산질병관리사 면허 취득하게 되면 아쿠아리움 취업부터 개인 관상어의 진찰 등의 영업활동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어류 질병 관련 연구소나 제약회사, 해양수산수, 수산질병센터 등의 공무원 취업의 경우도 있습니다. 

 

수산질병관리사 응시자격 

물고기 비롯한 수산생물 질병관련학과가 있는 대학에서 관련 전공 졸업하고 학사학위를 받아야 합니다. 관련학과는 부경대, 군산대, 전남대, 선문대, 제주대학교의 수산생명의학과 입니다. 

 

2003년 7월15일 이전에 수족병리학과, 어병학과, 해양생명의학과, 수산명의학 주전공, 해양생명의학 주전공자인 경우는 졸업 후 학사학위 받은 경우는 수산생명의학과 졸업하고 학사학위를 받은 것으로 합니다. 

물고기의사 수산질병관리사 시험 

1교시 수산생물기초의학1, 80문항이며 100분간 5지선다형 객관식으로 치뤄집니다. 

2교시 수산생물기초의학2 40문항, 수산생물임상의학1 40문항 총 80문항을 100분간 5지선다형 객관식으로 치루게 됩니다. 

 

 

3교시 수산생물임상의학2, 85문항으로 105문간 5지선다형 객관식입니다. 

4교시 수산생물임상의학4 45문항, 수산생물질병관련법규 20문항 합해서 65문항을 85문간 5지선다형으로 치루게 됩니다. 

물고기의사 되기 위해서는 위의 5개 대학 수산생명의학과를 졸업하고 1년에 한번 있는 시험을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치루게 됩니다. 시험장소는 부산 영도구에 소재하고 있는 한국해영수산연수원입니다. 

 

총 4교시의 시험 310문제 중에서 60% 이상 득점해야 합격이며, 각 과목당 40% 미만인 경우는 과락으로 불합격입니다. 

수산질병관리사 면허발급 

관련 학과 졸업 후 시험을 치루고 합격하게 되면 이제 물고기의사 면허를 발급받게 됩니다. 면허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졸업증명서, 건강진단서, 가곡관계증명서, 사진2 매 제출하고 여러 해당 여부를 확인 후 해양수산부의 면허를 받게 됩니다.